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표 총정리 – 세금·4대보험 공제 후 얼마 받을까?
연봉 3천이면 실제 월급은 얼마일까요? 공제 내역과 실수령액 차이가 궁금하다면 지금 확인해보세요.
안녕하세요! 2025년 최저임금 인상과 함께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등 4대보험 요율도 변동되면서 '연봉은 오르는데 월급은 그대로'라는 체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표를 중심으로, 세금 및 공제 항목이 실제 월급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2025년 연봉 실수령액 계산 방식
연봉은 회사가 책정한 총 보수이며, 실제로 입금되는 월급은 이 중 세금 및 4대보험이 공제된 '실수령액' 기준입니다. 2025년에도 공제 항목은 크게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과 소득세·지방소득세로 구성됩니다. 월 실수령액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월 실수령액] = [(연봉 ÷ 12개월) - 4대보험 - 소득세 - 지방소득세]
요약: 연봉이 같아도 공제 비율에 따라 월급은 달라집니다. 실수령액 기준으로 계획하세요.
4대보험 요율 및 공제 항목 정리
2025년 4대보험 요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와 개인이 절반씩 부담하며, 실수령액에서 개인 부담분만 공제됩니다.
공제 항목 | 요율 (2025년) | 공제 기준 |
---|---|---|
국민연금 | 4.5% | 월 급여 |
건강보험 | 3.545% | 월 급여 |
장기요양보험 | 0.455% | 건강보험의 12.8% |
고용보험 | 0.9% | 월 급여 |
요약: 4대보험 총 개인부담률은 약 9.4% 수준이며, 소득세는 구간별 누진 적용됩니다.
연봉 2400~4000 실수령액표
2025년 기준, 연봉 2400만원부터 4000만원까지 구간의 실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인 근로자 기준, 비과세 수당 제외, 월 12개월 동일 지급 가정입니다.
연봉 | 월급 (세전) | 월 실수령액 (예상) | 공제액 (세금+4대보험) |
---|---|---|---|
2,400만원 | 2,000,000원 | 1,790,000원 | 약 210,000원 |
3,000만원 | 2,500,000원 | 2,220,000원 | 약 280,000원 |
3,600만원 | 3,000,000원 | 2,640,000원 | 약 360,000원 |
4,000만원 | 3,333,000원 | 2,880,000원 | 약 450,000원 |
연봉 3천만원 기준, 실수령액은 약 222만원! 공제액만 28만원 이상 빠집니다.
요약: 실수령액은 연봉의 약 88~92% 수준입니다. 공제액은 연봉이 높을수록 누진 적용됩니다.
연봉 4500~7000 실수령액표
연봉이 높아질수록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누진 적용되어 실수령액의 차이가 더 커집니다. 아래는 2025년 기준 연봉 4500만원부터 7000만원 구간의 실수령액 표입니다.
연봉 | 월급 (세전) | 월 실수령액 (예상) | 공제액 (세금+4대보험) |
---|---|---|---|
4,500만원 | 3,750,000원 | 3,240,000원 | 약 510,000원 |
5,000만원 | 4,166,000원 | 3,560,000원 | 약 606,000원 |
6,000만원 | 5,000,000원 | 4,180,000원 | 약 820,000원 |
7,000만원 | 5,833,000원 | 4,760,000원 | 약 1,070,000원 |
연봉 6천만원, 공제액만 82만 원 이상! 실수령은 약 418만 원 수준입니다.
요약: 고연봉일수록 누진세+4대보험 공제로 실수령률은 더 낮아집니다.
비과세 항목이 실수령액에 미치는 영향
비과세 항목(식대, 차량유지비, 육아수당 등)은 과세소득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실수령액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월 식대 10만원 비과세 항목이 있다면, 그만큼 세금이 줄고 실수령액은 증가하게 됩니다.
비과세 항목 활용 = 실수령액 최적화! 고정 수당은 비과세로 받는 게 유리합니다.
요약: 같은 월급이라도 비과세 비중이 크면 실수령액이 훨씬 많아집니다.
초과근무·성과급 수령 시 실수령액 변화
초과근무수당(OT)이나 성과급, 명절보너스는 과세소득으로 잡히며, 일시적으로 소득세 구간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성과급이 큰 달에는 누진세 영향으로 실수령액이 생각보다 낮을 수 있으니 세금 예측이 중요합니다.
성과급 많이 받았는데 월급이 줄었네? 누진세 구간 점프 때문입니다.
요약: 성과급 수령 시 과세 소득이 늘어 실수령액 비율은 오히려 낮아질 수 있습니다.
연봉별 월 실수령액 요약표
2025년 기준, 연봉 구간별 실수령액을 표로 정리했습니다. 1인 가구 기준, 비과세 제외, 정규직 12개월 급여 지급 조건으로 계산되었으며, 누진세 구간 반영으로 연봉이 높을수록 실수령 비율이 점점 낮아지는 점도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봉 | 월급 (세전) | 월 실수령액 | 공제액 | 실수령률 |
---|---|---|---|---|
2,400만원 | 2,000,000원 | 1,790,000원 | 210,000원 | 약 89.5% |
3,000만원 | 2,500,000원 | 2,220,000원 | 280,000원 | 약 88.8% |
4,000만원 | 3,333,000원 | 2,880,000원 | 453,000원 | 약 86.4% |
5,000만원 | 4,166,000원 | 3,560,000원 | 606,000원 | 약 85.4% |
6,000만원 | 5,000,000원 | 4,180,000원 | 820,000원 | 약 83.6% |
7,000만원 | 5,833,000원 | 4,760,000원 | 1,070,000원 | 약 81.6% |
연봉이 오를수록 실수령률은 낮아지고 공제액은 급격히 증가합니다.
요약: 실수령액 기준으로 연봉을 바라보는 것이 현실적인 재무 계획의 시작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약 222만원 내외입니다. 공제 항목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 등 다양한 공제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네,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도 함께 공제됩니다. 고소득일수록 세금 비중이 커집니다.
성과급이 과세소득으로 포함되어 누진세율이 적용되면 세금이 더 공제되기 때문입니다.
맞습니다. 식대, 차량유지비 등 비과세 수당은 세금 계산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실수령액이 더 많아집니다.
낮아집니다. 누진세 구조 때문에 연봉이 높아질수록 세금 비중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비과세 수당, 성과급, 초과근무 등 변동 요소가 있을 경우 매월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도움되셨다면 아래 다른 글도 확인해보세요^^
※ 본 글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글이며, 참고용으로 활용해 주세요.
상황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직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월급에서 몇 % 빠지나요? 2025년 공제율 정확히 알려드립니다 (0) | 2025.04.16 |
---|---|
연봉 실수령액 계산법 – 세금·4대보험 떼고 얼마 받는지 알려드립니다 (0) | 2025.04.16 |
부업 소득 얼마부터 세금 신고해야 하나요? 과세 기준 총정리 (0) | 2025.04.16 |
겸직 근로소득 신고 방법, 이렇게 하세요 – 홈택스에서 2곳 급여 입력하는 법 (0) | 2025.04.16 |
4대보험 가입 기준 총정리 – 주 15시간 이상부터 달라지는 근로자 요건 (0) | 2025.04.16 |